씨족·지명 등 새 방법론 적용하면 동이족과 한민족의 관계 확연하게 드러나
![]() |
▲ 박동(朴東) 박사 |
선진(先秦) 시기 중원의 동이족(東夷族)과 한민족의 관계에 대해 꾸준히 논쟁이 제기되고 있다. 김상기 선생을 비롯한 동이족 연구자들은 이들 동이족이 한민족의 원류를 형성했다고 주장하는 반면에 강단의 주류학자들은 선진 시기 동이와 1천 년 이후 동북의 동이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가 기존의 문헌 사료나 물질 자료에 덧붙여 씨족이나 지명 등 새로운 방법론을 적용할 경우 동이족과 한민족의 관계는 확연하게 드러난다. 예를 들어 영산강 유역의 나주 나씨(금성 나씨)와 광주 노씨(광산 노씨)의 경우 선진 시기에 하남성 등 중원에서 활약하다가 한반도로 유입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리고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에는 ‘스스로 소호김천(少昊金天)씨의 후예이므로 성을 김(金)으로 한다’고 하였고, 김유신의 비문에도 ‘헌원의 후예이자 소호의 자손이라고 했다’고 돼 있다.
이처럼 중국 선진 시기 동이족과 한민족은 명백한 연결고리가 존재하고 있어 이들이 한민족의 원류를 형성하는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본 연재 시리즈를 통해 중국의 동이족과 한민족이 역사적으로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밝혀보고자 한다. <편집자 註>
(글 싣는 순서)
[시리즈 1] : 동이족과 한민족의 뿌리 찾기를 위한 새로운 방법: 씨족과 지명 연구 / -인터넷 검색 엔진의 발전과 지명 탐색의 용이성으로 인한 방법론의 전환 / -전쟁을 중심으로 한 정치군사적 역사 해석의 필요성(이하동서설 등)
[시리즈 2] : 상(은)나라의 건국과 동이족 -하상(夏商)전쟁과 상나라의 건국
/ -상(은)족의 유래/ -상(은)나라와 동이족의 태양신 숭배 신화
[시리즈 3] : 은주(殷周) 목야지전(牧野之戰)과 은나라의 멸망
[시리즈 4] : 성주지회(成周之會)와 동이족 / -상나라는 동이족이 세운 나라인데 그렇다면 주나라는 화하족이 세운 나라?
[시리즈 5] : 은나라의 멸망 이후 삼조선의 정립
[시리즈 6] : 은나라 멸망 이후 사(沙)씨 세력의 분화
[시리즈 7] : 서언왕의 동이족과 화하족의 쟁패
[시리즈 8] : 주나라와 은민육족의 대립과 부여국의 발전
[시리즈 9] : 나·노(羅·盧) 축융족과 초나라 간 언북전쟁
[시리즈 10] : 제나라 환공의 북벌과 발조선
[시리즈 11] : 오·월 전쟁과 오나라의 멸망 그리고 초기 동이 왜의 확산
[시리즈 12] : 조나라 무령왕의 호복 착용과 중산국 정벌 / -월지 백적의 나라 중산국과 고조선 / -주나라 남부 제후국들과 동북 발해연안 제국들의 쟁패 / -선우 중산국의 멸망(엄청난 유물이 발굴됨, 기자조선의 후예)
[시리즈 13] : 연나라 진개의 조선 침략과 부여 발조선의 분화 / -진개의 침략으로 인한 실지의 범위 / -박 씨와 서 씨의 기원
[시리즈 14] : 나·노 씨족의 유래와 한반도 이동
[시리즈 15] : 산동 래이족과 제나라의 대립
[시리즈 16] : 동이 왜의 형성과 이동
[시리즈 17] : 조한(朝漢) 전쟁과 한사군의 설치: 낙랑군과 대방군의 위치 비정
[시리즈 18] : 진시황의 중국 통일과 래이 마한의 성립
[시리즈 19] : 한·중·일 사서의 교차비교를 통한 마한 월지국의 위치 비정 / -포상팔국전쟁과 가라 7국 정벌전쟁의 동일성 / -삼국지 한전의 기사 내용 / -삼국사기, 삼국유사의 포상팔국전쟁 / -일본서기 가라 7국 정벌 전쟁
[시리즈 20] : 나주 복암리 아파트형 고분의 피장자 실체 / -400년 타임캡슐의 개봉과 영산강 세력의 실체 / -사서의 분석에 따른 피장자 후보 추출 /-목 씨 세력에 대한 추적 / -일본 소가 씨의 실체와 나주 임 씨
♥ 주 2회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필자소개]
-박동(朴東) 박사는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정치학박사, 정치경제학 전공)를 졸업하고 참여정부 대통령자문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정책연구실장,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정책기획국장을 거쳐서 현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2005년 무렵 도라산 통일사업을 하던 분들과 교류를 하다가 도라산의 라(羅)의 유래에 대해 꽂혀서 최근까지 연구했으며, 중국의 운남성 박물관에서 라의 실체에 대해 깊숙이 알게 되었다. 현재 연구 결과를 책자 발간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