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금 실적 부진 원인 분석과 대책 마련 촉구
서울형 고향사랑기부제의 실질적 재정비 필요
시민 체감도 높이는 제도 개선과 법령 보완 강조
![]() |
▲구미경 시의원 |
서울특별시의회 구미경 의원은 13일 서울시의 고향사랑기부제 운영 실태에 대해 집중적으로 질의하며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구 의원은 서울시의 기부금 수입이 목표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전체 기금의 60% 이상이 예치금으로 묶여 실질적인 정책사업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고향사랑기부제는 시민이 자신의 고향이나 관심 있는 지역에 기부하면 해당 자치단체가 주민 복리 증진을 위한 사업에 활용하고, 기부자에게는 세제 혜택과 답례품을 제공하는 제도다.
그러나 서울시는 제도 시행 2년 차임에도 불구하고 기부금 수입이 목표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전체 기금의 60% 이상이 예치금으로 묶여 실질적인 정책사업으로의 활용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구 의원은 기부금 실적 부진의 원인 분석과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 예치 중심 운용 구조에서 실집행 중심 구조로의 전환, 기부자 만족도를 고려한 답례품 운영의 내실화, 자치구 우수 사례의 시정 전반 확산 전략, 그리고 서울시민 체감도가 낮은 일부 신규사업의 집행 적절성 등 고향사랑기부제 운영 전반에 걸쳐 문제를 제기했다.
구 의원은 “현행 법령상 자율성이 명시돼 있지만, 실제로는 광역지자체의 특성을 반영한 사업 설계에 제약이 많다”며 “서울시민의 기부가 시민 체감도가 낮은 보여주기식 사업이나, 서울 외 지역 중심의 지원으로 흐르지 않도록, 서울형 고향사랑기부제를 실효성있게 재정비하고 관련 법령 개선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결론적으로, 고향사랑기부제의 본래 취지인 시민 복리 증진을 위해서는 기금의 실질적 활용과 제도적 유연성이 필요하다. 서울시는 기부제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제도 개선과 법령 보완을 통해 시민의 체감도를 높이고, 기부금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