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구 싱크홀 사고 후 광진구 등 지반침하 우려지역 조사 촉구
지하매설물 통합 관리 위한 '지하안전지도' 구축 시급
서울시, 민간용역장비 투입 및 자치구별 정밀 점검 병행
![]() |
▲박성연 시의원 |
서울시의 지하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밀탐사 확대와 '지하안전지도' 구축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박성연 서울시의원은 22일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재난안전실 업무보고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 의원은 "현재 사용 중인 GPR(지표투과레이더)은 지하 2미터 내외 탐사에 한계가 있다"며 "저주파 탐사를 병행해 보다 깊은 구간을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주파 탐사는 해상도는 낮지만 깊은 탐사가 가능하다는 전문가 의견을 인용하며 복합 탐사 방식으로의 전환 필요성을 설명했다.
최근 강동구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를 언급하며 박 의원은 "광진구 역시 지반침하 가능성이 제기된 우려지역으로 조속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지하매설물, 공동구, 지하철 공사 이력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지하안전지도'의 구축이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현재 GPR 장비 외에도 민간용역장비를 추가로 투입하고 있으며 자치구별 현장점검도 병행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특히 "지반구조가 복잡한 한강변 인근 자치구는 더욱 정밀한 탐사와 점검이 필요하다"며 "지하철 공사장 역시 준공 이후 1년간 침하 여부를 지속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박성연 의원은 "서울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려면 지하안전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 구축과 예방 중심의 대응이 중요하다"며 "싱크홀의 깊이와 위험도를 사전에 면밀히 파악하고 자치단체와의 긴밀한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