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 없다면 괴담 유포당, 가짜뉴스 보도당이라고 불러도 마땅”
“또다시 반복된다면 후속 조치를 내부적으로 상의할 것”
-대통령실 관계자, 윤 대통령이 22대 국회 개원식 불참에 대해
“'계엄설' 난무, 대통령 향한 언어폭력과 피켓 시위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대통령이) 개원식에 참석하는 게 쉽지 않다”
![]() |
▲ 정혜전 대통령실 대변인 브리핑 정혜전 대통령실 대변인이 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현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
대통령실이 2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향해 "무책임한 선동이 아니라면 당대표직을 걸고 말하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정혜전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전날 여야 대표회담 모두발언에서 '계엄 의혹'을 제기한 이 대표를 겨냥 "국민들에게 국가 전체를 뒤흔들 수 있는 탄핵과 계엄을 일상화시키고 세뇌시키는 선동에 불과한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대변인은 "대통령실의 성명도 외면한 채 또다시 괴담을 확산 반복하고 있다"며 "민주당 의원들의 머릿속에는 계엄이 있을지 몰라도 저의 머릿속에는 계엄이 없다"고 강조했다. 정 대변인은 "날조된 유언비어를 대한민국 공당의 대표가 생중계로 유포한 사실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손톱만큼의 근거라도 있으면 말해달라"며 "대한민국은 헌법상 민주공화국이다. 독도 지우기로 영토 보존의 의무에 의혹을 제기하고 계엄 괴담으로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는 대통령을 음해하는 민주당의 노림수는 대체 무엇인지 오히려 되묻고 싶다"고 말했다.
정 대변인은 또 "근거가 없다면 괴담 유포당, 가짜뉴스 보도당이라고 불러도 마땅하다"며 "나치 스탈린 전체주의 선동 정치를 닮아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근거조차 없는 계엄론으로 국정을 마비시키려는 야당의 계엄 농단, 국정농단에 맞서서 윤석열 정부는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야당에 이같이 분명한 경고 입장을 밝히고, 추후 계엄 의혹 확산 추이에 따라 추가 대응을 정하겠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지난번에 이어 이번에도 괴담 유포에 경고와 강력한 유감을 표했는데 또다시 반복된다면 후속 조치를 내부적으로 상의하겠다"고 언급했다.
대통령실은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의료진 부족에 따른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로 사망자가 증가했다고 전날 주장한 점도 강하게 비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명확한 근거 없는 주장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응급 의료현장을 지키고 있는 의료진 사기를 저하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국민 불안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응급환자 사망에는 다양한 변수가 있어서 사망하지 않아도 될 사람이 응급실 뺑뺑이로 사망했는지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부 통계의 산출 자체가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응급의료의 공백 문제는 의사 부족 등으로 인해 수년간 누적된 문제"라며 "정치적 유불리 셈법을 따져 수년간 방치해 온 의료 개혁을 윤석열 정부는 오로지 국민 생명권과 건강권을 지키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의대 증원에 대해서는 "의료업계가 통일된 안을 가져온다면 얼마든지 열려있다"며 "단순히 증원 2천명이라는 숫자를 고집하는 게 절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22대 국회 개원식에 불참한 데 대해서는 "현재 국회는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약간 비정상적인 국회"라며 "국회에서 '계엄설'이 난무하고 대통령을 향한 언어폭력과 피켓 시위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대통령이) 개원식에 참석하는 게 쉽지 않다"고 이 관계자는 말했다.
그는 개원식에서 우원식 국회의장이 제안한 '개헌 대화'에 대해선 "일단 국민의 뜻이 좀 모아져야 가능하다"고 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의 사위였던 서모 씨의 '항공사 특혜 채용' 의혹 수사 과정에서 야당이 제기한 '정치 보복' 주장에는 "일방적인 주장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연합뉴스 종합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