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오는 22일과 23일 이틀간, 경주 힐튼호텔에서 ‘목곽묘로 본 사로국과 신라’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해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와 한국고고학회가 공동 개최하였던 ‘목관묘로 본 사로국의 형성과 전개 학술대회’의 후속으로 경주와 주변 지역에서 확인된 목곽묘와 출토유물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사로국의 발전과 신라 국가형성의 과정을 밝히고자 기획됐다.
첫째 날인 22일에는 11개의 목곽묘 유적 사례발표와 유적에 대한 종합 총평이 마련되어 있다.
경주 쪽샘, 경주 황성동, 경주 덕천리, 경주 사라리·사방리·동산리, 경주 조양동·구정동·구어리, 경산 임당, 대구 팔달동·비산동·서변동, 칠곡 심천리, 포항 옥성리·남성리·마산리·학천리, 울산 조일리·하삼정, 울산 중산동, 울산 하대·다운동, 양산 소토리가 발표된다.
그리고 유적 종합 총평이 이어진다.
23일에는 기조 강연과 6개의 주제발표로 구성됐다.
기조강연으로 경주지역의 목곽묘 전개와 신라 조기 왕묘의 위상을 시작으로 목곽묘와 출토유물을 통해 사로국과 신라를 주제로 한 문헌에 나타난 斯盧國과 新羅, 경주지역 목곽묘 구조 검토, 목곽묘 출토 토기로 본 사로국과 신라, 목곽묘 출토 의기성 철기로 본 사로국과 신라, 사로에서 신라로의 전환가 이어진다.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