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한동훈 42% vs. 이재명 36%-매경 여론조사

뉴스 Hot / 김현기 기자 / 2024-02-08 09:42:38
MBN·매일경제신문, 2024설 민심 여론조사
차기 대선 후보 양자 대결, 한동훈 42%·이재명 36%
정당 지지도, 국힘 34%·민주 27%·개혁신당 2%
"김건희 명품백 이슈 총선에 영향 줄 것" 58%
‘운동권 퇴진론’에 대해서는 찬성(44%)과 반대(43%)가 팽팽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지지세 탄력이 심상치 않다.

 

MBN·매일경제신문이 실시한 설 민심 여론조사 결과 차기 대선주자인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양자 대결을 한다고 가정할 때 후보 적합도는 한동훈 42%, 이재명 36%로 나타나 6% 차이로 한 위원장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국민의힘(34%)이 민주당(27%)을 오차 범위 밖에서 앞섰습니다. 이어 개혁신당 2%·이낙연 신당 2%, 정의당 1%(녹색정의당은 정의당 이름으로 조사). ‘지지 정당 없다고 응답한 무당층이 30%나 돼 이번 총선에서 스윙보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오는 4월 총선에서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지지가 근소한 차이 속 접전을 펼치고 있다.

 

다가올 4월 총선에서 어느 당을 지지할 것이냐는 물음에 40%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 국민의힘 후보를 지지한다고 답했고 36%정부 견제를 위해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지지한다고 답했다.

 

이어 거대 양당 견제를 위해 제3지대 후보를 지지한다는 응답은 14%였다. ‘모름·무응답10%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국민의힘은 60대와 70대 이상에서 각각 62%, 63% 높은 지지율을 얻었다. 그러나 이외 모든 연령층에서 민주당이 우세했다. 특히 40대에서 민주당 50%(국민의힘 26%)를 기록했다. 이어 5043%(국민의힘 36%), 18~2939%(국민의힘 22%), 3036%(국민의힘 32%) 순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국민의힘은 대구·경북 지역에서 59%로 과반 이상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부산·울산·경남 47%, 강원·제주 50%로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수도권 민심을 파악한 결과 서울에서는 국민의힘이 44% 지지율을 기록했고, 민주당은 35%였다. 반면, 인천·경기 지역에서는 민주당 37%, 국민의힘 35%였다.

 

대통령 국정 수행 평가와 관련해선 부정 평가가 58%로 과반을 넘어섰다. 긍정 평가는 37%로 나타났다. 이념 성향 별로는 중도층의 부정 평가가 69%였다. 보수층의 긍정 평가가 67%인 반면, 진보층에서는 부정평가가 86%에 달했다.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이 이슈가 총선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한 비율은 58%,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39%.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사이의 정면충돌 사태에서 누가 더 이득을 보았느냐는 질문에 한동훈 비대위원장’ 24%로 나타났다. ‘윤석열 대통령4%에 그쳤다. 가장 높은 답변을 보인 건 38%를 기록한 두 사람 모두에게 손해. ‘두 사람 모두에게 이득이라는 비율은 15%.

 

이번 총선에서 86세대(80년대 학번·60년대생) 정치인 청산을 의미하는 운동권 퇴진론에 대해 찬성(44%)과 반대(43%) 의견은 1%포인트 차로 팽팽하게 나타났다.

 

한편 이번 조사는 MBN·매일경제신문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넥스트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 방법은 면접원에 의한 전화 면접조사 유선 10%, 무선 90%, 응답률은 12.3%.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그래픽 출처/매일경제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현기 / 온라인팀 기자
이메일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