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삭감과 사업 미진행으로 지역문화 진흥 불투명
서울생활예술페스타 확대 추진에 예산 포함 논란
사업 운영 투명성 문제 제기, 방향성 재검토 필요
![]()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질의 모습. |
서울문화재단이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N개의 서울' 사업을 계획과 다르게 추진해 논란이 일고 있다.
김경 서울특별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열린 제330회 임시회에서 서울문화재단이 당초 계획된 지역문화 및 생활문화 진흥지원 사업을 다른 사업으로 집행하고있다고 비판한 바 있다.
서울문화재단의 'N개의 서울' 사업은 2018년부터 지역 고유의 문화 생태계를 육성하기 위해 시작됐다. 각 자치구에 예산을 배분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됐으며, 지난해에는 ▲지역문화 생활예술 지원 23개 구(평균 지원금 8000만 원)와 ▲인디음악 생태계 지원 4개 구(평균 지원금 3900만 원)에 약 20억 원을 지원했다. 그러나 올해 서울시는 해당 사업 예산을 약 7억 원으로 삭감했고, 서울문화재단은 이를 실제 진행하지 않아 사업 추진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특히 송형종 서울문화재단 신임대표가 발표한 '3대 전략 10대 과제'의 일환으로 '서울생활예술페스타'가 확대 추진될 예정이며, 'N개의 서울' 예산 일부가 이 사업에 포함됐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김경 위원장은 “당초 보고된 내용과 다르게 임의로 사업을 변경해 진행하는 건 의회를 무시한 처사”라며 “자치구 특성에 따른 다양성을 무시한 획일적 운영은 오히려 지역문화 생태계의 기반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서울문화재단이 서울시민의 문화 향유를 위해 사업을 진행하는 것을 존중하지만, 서울시 출연기관으로서 투명하게 사업을 운영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번 논란은 서울문화재단의 사업 운영 방식과 예산 사용의 투명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향후 지역문화 진흥 사업의 방향성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