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한 사항은 포스터로 확인해주세요.
◆ 추가접종 전, 꼭 확인해주세요!
[접수]
1. 접종대상자 본인 여부 및 접종력(1~2차 접종 백신종류, 접종완료일)
2. 접종완료일 이후 접종간격이 6개월(180일)이 지났는지 확인
· 해외출국, 입원, 질병치료 등으로 보건소에서 확인한 경우는 6개월 기준 4주전(1520일)부터 접종 가능
· 면역저하자, 얀센백신 접종자는 기본접종 완료 2개월 이후 접종
[예진]
면역저하자(별첨1)는 의사의 소견으로 추가접종 대상자에 포함*시키거나, 대상자의 접종일 연기를 권고할 수 있음**
* 의사의 소견서를 받아 보건소에서 추가접종 대상자로 등록
** 의사는 면역저하자가 대상자 기준에 포함되지만 당장 추가접종을 받을 면역저하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예, 고형암 조기치료로 완치판정) 6개월 이후 접종권고 가능
[접종]
기본접종 백신 종류와 무관하게 추가접종은 mRNA 백신 접종
* 단, 얀센백신 접종자는 희망하는 경우 얀센백신으로 추가접종 가능
※ 유의사항 : 모더나 백신으로 추가접종 시 기본접종의 절반만 접종
- 모더나 백신의 주입용량별 인식표* 구분으로 접종 전, 접종대상자 및 의료진은 백신종류·용량 재확인
◆ 추가접종 대상 면역저하자 범위
(별첨) 면역저하자(기본접종 완료 2개월 후 추가접종 대상자)
[진단명]
· 급만성백혈병,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환자, 골수섬유화증, 비호지킨림프종(B세포) 환자
· 고형암
· 고형장기이식환자
· 겸상구빈혈 또는 헤모글로빈증, 지중해빈혈증
· 일차(선천)면역결핍증 환자
[질환 상태]
· 조혈모세포이식 후 2년 이내인 환자 또는 이식 2년 경과한 경우라도 면역억제제를 치료하는 경우
· 자가면역 또는 자가염증성 류마티스 환자
1) 항류마티스 약물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2) 과거 심각한 감염의 병력이 있었던 환자
3) 단, 질병의 활성도나 환자의 상태, 치료 중인 약물에 따라서 접종 일정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어, 접종 전 류마티스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하여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 HIV 감염 환자(CD4+ T 세포수 200/uL미만)
· 비장절제 또는 기능적 무비증
[면역억제치료 중]
· 고용량 코르티코스테로이드(20mg 이상의 용량으로 2주 이상 처방받은 자)
· 알킬화제
· 길항물질
· 이식 관련 면역억제제
· 암 화학요법제
· 면역억제제 또는 면역조절제인 기타 생물학적 제제
- 진단명 등 병력과 접종력이 확인된 경우 사전 안내, 확인이 어려운 경우는 의사소견으로 접종 가능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