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제품에서 납과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최대 33배 초과
서울시, 온라인 플랫폼에 부적합 제품 판매 중단 요청
소비자, 구매 전 제품 정보 확인 및 주의 필요
서울시는 여름철을 앞두고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하절기 제품 24개를 대상으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절반이 넘는 14개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국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해외직구 어린이 제품 구매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검사 대상은 테무, 쉬인,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상·하의와 신발 24개 제품이었다. 검사 결과, 어린이용 신발 4개 제품에서 납과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국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고, pH 또한 기준치를 벗어나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특히 한 제품의 깔창에서는 pH가 8.9로 나타났으며, 가죽의 코팅 부위에서는 납이 기준치의 약 25배 초과 검출됐다. 또 다른 제품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최대 33배 초과 검출됐다.
어린이용 상의 4개 제품 모두에서 pH 수치가 기준치를 벗어나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한 제품의 장식용 체크무늬 직물에서는 pH가 8.8로 나타났고, 노닐페놀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
어린이용 하의 6개 제품은 물리적 시험, 유해물질 검출, pH 항목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 중 5개 제품은 장식용 허리끈이나 고정루프의 길이가 기준치를 초과해 안전사고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이번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에 대해 각 온라인 플랫폼에 판매 중단을 요청했다. 또한 소비자에게는 제품 정보를 반드시 확인하고 구매할 것을 강조했다.
서울시는 6월에는 장마철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어린이용 우산, 우비, 장화 등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번 검사 결과는 서울시 누리집과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누리집에서 상시 확인할 수 있다. 해외 온라인 플랫폼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나 불만 사항은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핫라인 또는 120다산콜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소비자들은 이러한 정보를 통해 안전한 제품을 선택하고, 어린이의 건강과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한다.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