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경제신문 황성욱 기자] 생활화학제품의 안전을 전담 관리하는 정부조직이 생긴다. 더불어 배출가스 조작을 원천 차단하기 위한 정부 기능도 강화된다.
행정자치부와 환경부는 생활화학제품, 미세먼지 문제 등 국민체감형 환경문제를 적시에 해결하기 위해 전담기구를 신설하고, 인력 18명을 보강한다. 더불어 미래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물, 대기 등 매체융합을 강화하기 위한 조직 개편도 병행한다.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화학제품관리과’를 신설하고, 제도 운영인력 9명을 증원한다. ‘화학제품관리과’는 관리대상 제품 확대에 따른 안전기준 설정, 유통제품 전수조사·검증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미세먼지 관리의 전담부서인 ‘청정대기기획과’도 대체 신설한다. ‘청정대기기획과’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이행과제를 수행하고, 친환경차 보급·확대를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환경부 조직을 효율화하여 기후변화협약(COP, INDC),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과 같은 미래변화 대응기능 등을 강화한다. ‘기후미래정책국’을 신설하고, 환경영향평가, 환경감시 등 매체융합 관리가 필요한 분야 총괄을 위해 ‘국제협력관’을 ‘환경융합정책관’으로 개편한다.
조경규 환경부장관은 “국민 건강이 최우선 가치이다. 금번 조직 개편으로 향후 환경부가 경쟁력 있고, 국민의 신뢰를 받을 수 있는 조직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