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허가 절차 간소화로 정비사업 기간 1년 단축
세입자 보호 강화, 이주비용 보상 및 용적률 인센티브 제공
한강벨트 등 수요 높은 지역에 집중, 2035년까지 37만 7000호 준공 목표
서울시가 새로운 주택 공급의 지평을 열었다. 29일 발표된 '신속통합기획 시즌2'는 기존의 정비사업 과정을 대폭 단축해 2031년까지 31만 호의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남다른 점은 인허가 절차와 협의 및 검증 과정을 신속히 처리해 시간이 걸리는 부분을 과감히 개선했다는 것이다. 이는 주거 안정을 위한 획기적인 접근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계획은 주택 공급의 병목 현상을 해결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시민들이 원하는 주택을 더 빠르고 많이 공급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은 이미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위해 도입된 공공 지원 계획인데,
이번 시즌2에서는 정비사업 초기부터 완료에 이르기까지의 불필요한 절차를 제거하고 행정적 지원을 강화한다. 그 결과 정비사업 기간을 1년 더 줄일 수 있게 됐다.
관심을 끄는 부분은 서울시가 부서 간 협의와 검증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직접 '협의 의견 조정 창구'를 운영한다는 점이다. 내년 상반기에는 한국부동산원과 SH공사가 협력해 '관리처분 계획 타당성 검증'을 실행하며 사업 진행 속도를 높일 예정이라 한다.

또한, 이번 시즌2에서는 기존에 배제됐던 세입자들에게도 이주비용을 보상하고 조합이 추가 보상을 제공하면 용적률 인센티브로 답하는 구조로 세입자를 보호하도록 했다.
서울시는 '신속통합기획 시즌2'를 통해 한강벨트와 같은 시민 수요가 높은 지역에 주택공급을 집중해 2035년까지 총 37만 7000호의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 계획이 서울의 주택공급 문제 해결에 기여하며 민간 중심의 활발한 정비사업을 촉진시킬 거라 자신하며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부동산 시장 안정 효과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서울시의 움직임은 단순한 주택 공급을 넘어 시민의 주거 만족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