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혼 연령 상승, 출산 연령도 높아져
출생아 수 급감, 합계출산율 0.75명으로 하락
사회적 인식 변화와 경제적 요인 복합 작용
한국의 혼인과 출산 풍경, 지난 30년간 어떻게 달라졌을까. 통계청의 최신 보고서가 흥미로운 통찰을 제공했다. 매년 결혼식이 점점 뜸해지지만, 국제 결혼이 절정에 달하며 주목받고 있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30년간 우리나라의 혼인·출생 변화'에 따르면, 한국의 결혼 건수는 지난 30년간 절반으로 줄어들었지만, 외국인과의 혼인은 50% 이상 증가하며 다문화 결혼이 전체 결혼의 1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5년 39만 8500건이었던 혼인 건수는 2022년 19만 1700건으로 감소했다.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19만 3700건, 22만 2400건으로 소폭 증가했으나, 30년 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44.2% 적다.
반면, 외국인과의 결혼은 1995년 1만 3500건에서 지난해 2만 800건으로 53.9% 늘었다. 한국 남자와 외국 여자 간 결혼은 50.7%, 한국 여자와 외국 남자의 결혼은 64.2% 증가했다. 초혼 연령도 상승했다. 1995년 남자 28.4세, 여자 25.3세였던 평균 초혼 연령은 지난해 남자 33.9세, 여자 31.6세로 높아졌다. 출산도 늦어지고 있다. 출생아 수는 1995년 71만 5000명에서 2023년 23만 명으로 급감한 후 지난해 23만 8000명으로 소폭 늘었다. 합계출산율은 1995년 1.63명에서 2024년 0.75명으로 감소했다.
출산 연령도 높아졌다. 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1995년 27.9세에서 2024년 33.7세로, 부의 평균연령은 같은 기간 31.1세에서 36.1세로 상승했다.
첫째아의 비중은 1995년 48.4%에서 지난해 61.3%로 증가했다. 혼인 외 출생아 비중은 1.2%에서 5.8%로 확대됐고, 쌍둥이 등 다태아 출생아 비중은 1995년 1.3%에서 2024년 5.7%로 늘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 사회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 변화와 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결혼과 출산의 감소는 인구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는 장기적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도전과제를 제기할 수 있다.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