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47년 건립, 화재 후 중심 불전 기능 수행
조선 전기 양식 계승한 화려한 건축 양식
문화유산 보호 노력, 후대에 귀중한 유산 남길 것
안동 광흥사의 응진전이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될 예정이다.
이 건물은 조선시대 불교 건축과 사찰 운영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으로, 화재로 소실된 중심 불전의 기능을 이어받아 역사적·건축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1647년 기와 공사를 통해 조선 중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안동 광흥사 응진전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안동 광흥사는 통일신라 때 창건된 사찰로, 조선전기에 불경 간행이 활발히 이루어졌던 유서 깊은 곳이다. 응진전은 1827년과 1946년의 화재로 대부분의 전각이 소실된 후 중심 불전의 기능을 수행하게 됐다.
응진전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규모로, 겹처마 팔작지붕을 갖추고 있다. 정면의 공포는 다포계로 화려하게 조성됐으며, 옆면과 뒷면은 기둥 위에만 공포를 두고 화반으로 장식해 정면을 강조했다. 특히 조선 전기의 양식을 계승한 공포는 불전 건축양식의 변화를 잘 보여준다.
응진전에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소조석가여래오존상 및 16나한상 일괄’이 봉안돼 있다. 이 작품은 1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총 42구로 일반적인 사례에 비해 수가 많고 배치가 특이해 학술적 가치가 높다.
국가유산청은 30일간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앞으로도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을 지속적으로 조사·발굴해 체계적으로 보호할 계획이다. 이러한 노력은 우리 문화유산의 보존과 전승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후대에 귀중한 유산을 남기는 데 기여할 것이다.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