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교통약자 247만 명, 지하철 가장 많이 이용
저상버스 예약 서비스, 이용 건수 저조
서울동행맵 시스템 고도화 필요성 제기
![]() |
▲김지향 시의원 |
서울시의 장애인 대중교통 접근성 정책이 여전히 실효성 면에서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지향 서울시의회 의원은 제45회 장애인의 날을 맞아 서울시의 교통약자 정책 전반에 대한 점검을 요구하며, 실질적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2025년 2월 기준 등록장애인은 38만 6000여 명이며, 교통약자는 247만 명으로 추정된다. 교통약자는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를 동반한 사람, 어린이 등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사람을 포함한다. 2023년 10월 기준 교통약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지하철(32.4%)이며, 도보(25.6%), 버스(16.5%), 자가용(8.7%) 순이다.
서울시가 시행 중인 장애인의 저상버스 예약 서비스는 2024년 이용 건수가 386건에 불과했다. 또한, '서울동행맵'의 총이용 건수도 2만 1000여 건에 그쳐, 247만 명에 이르는 교통약자 수에 비해 매우 저조한 수준이다.
2023년 8월부터 시행 중인 서울시의 장애인 버스요금 지원사업도 월 최대 5만 원까지 지원할 수 있지만, 2025년도 평균 지급액은 2만 3000원에 그치고 있다.
이에 대해 여장권 교통실장은 “장애인의 대중교통 이용에 불편한 점이 없도록 장애인유관단체, 장애인복지과 그리고 버스 업계와 면밀히 논의하고 있다”며 “서울동행맵과 저상버스 예약서비스의 시스템을 고도화하여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체계를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지향 의원은 “교통약자와 장애인의 교통접근권은 이동의 문제이자, 일상과 사회참여의 문제”라며 “서울시의 대중교통 정책이 단순 인프라 확충에 그치지 않고 현장에서 체감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작동하는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울시의 교통약자 대중교통 접근성 정책은 여전히 개선이 필요하다.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장 체감도를 높이고, 교통약자들이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교통약자들이 일상생활에서 더 나은 이동권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