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월오봉도 병풍, 창덕궁 인정전의 역사적 상징
강남춘의도 병풍, 조선 문인들의 이상향을 그리다
헌종의 인장 수집품, 체험형 전시로 관람객 참여 유도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왕실의 품격 높은 그림과 글씨를 새롭게 단장한 전시실을 통해 공개한다고 11일 밝혔다. 관람객들은 보존처리를 마친 '일월오봉도 병풍'과 '강남춘의도 병풍'을 비롯해 조선시대 왕들의 글씨와 그림을 감상할 수 있다.

지하 1층의 '궁중서화' 상설전시실은 조선왕실의 예술적 품격을 보여주는 다양한 소장품과 미디어 콘텐츠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서는 창덕궁 인정전을 장식했던 '일월오봉도 병풍'이 처음으로 공개된다. 이 병풍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국립문화유산연구원에서 보존처리를 거쳤다. 조선시대 궁궐의 정전에는 대형 일월오봉도가 설치됐으나, 일제강점기에는 일본풍의 그림으로 대체됐다가 1964년 복원됐다.
'강남춘의도 병풍'은 중국 강남 지역의 봄 풍경을 상상하여 그린 작품으로,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이상적인 도시로 여겨졌다. 이 병풍은 2022년 국립고궁박물관이 구입해 보존처리를 마친 후 처음으로 공개된다.

조선 왕실은 유교 이념에 따라 글짓기와 서예를 중요시했다. 왕의 글과 글씨는 대대로 보존되며 존숭의 대상으로 여겨졌다. 새 단장한 전시실에서는 역대 왕들의 어필각석과 현판도 전시돼 왕실 서예의 진면모를 엿볼 수 있다. 관람객들은 디지털 콘텐츠를 통해 왕과 단어를 선택해 어필각석에 담긴 이야기를 찾아볼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헌종이 수집한 인장도 공개된다. '보소당인존'은 헌종이 선대 왕들의 인장을 수집해 간행한 것으로, 덕수궁 화재로 소실됐으나 고종 대에 다시 모각됐다. 관람객들은 인장을 시전지에 찍어보는 체험도 할 수 있다.

전시 도입부에서는 '요지연도' 속 서왕모의 연회에 초대받은 신선들의 모습을 담은 영상이 관람객을 궁중서화의 세계로 이끈다. 전시실 안쪽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궁중서화를 감상할 수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이번 전시를 통해 조선시대 궁중서화의 품격과 우수성을 국내외에 널리 알리고자 한다. 앞으로도 왕실유산의 가치를 확산하기 위한 전시 기획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이번 전시는 조선왕실의 예술적 유산을 재조명하고, 그 가치를 현대에 맞게 해석하여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