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맞춤형 직업학교 및 지원주택 확충
저상버스 100% 도입과 첨단 보조기기 보급
인권침해 무관용 원칙 및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시행
서울시는 16일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2530 장애인 일상활력 프로젝트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장애인의 일자리, 주거, 이동권, 인권 등 4대 분야에서 촘촘한 지원을 통해 장애인의 '아주 보통의 하루'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울시는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공공일자리를 현재 연간 5000개에서 2030년까지 1만 200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발달 및 뇌병변 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직업학교를 2030년까지 개교할 예정이다.
주거 분야에서는 장애인 지원주택을 500가구로 확대하고, 공동생활가정을 25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저상버스를 100% 도입하고, AI와 로봇 기술을 활용한 첨단 보조기기를 보급할 예정이다.
인권 분야에서는 인권침해에 대해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고, 중대한 인권침해 발생 시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실행해 시설을 즉시 폐지할 방침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장애인은 우리 사회를 함께 만드는 주체"라며 "장애인의 보통의 하루가 특별한 이벤트가 아닌 평범한 일상이 되는 서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번 계획은 서울시 장애인복지위원회와 장애인 당사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실효성을 높였으며, 총 2조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지원함으로써 사회참여를 확대하고, 장애인이 자립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로써 장애인들이 사회의 일원으로서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