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구·군이 함께 그리는 ‘15분 도시 부산’, 첫발을 뗀다

지역 / 임수진 기자 / 2022-06-13 07:47:22
‘15분 생활권 조성을 위한 정책공모’선정사업 확정
▲ 부산광역시청

 부산시는 지난 13일 ‘15분 생활권 조성을 위한 정책공모’ 선정위원회 본회의를 열고 총 16건의 사업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각 선정사업 추진에 필요한 후속절차도 즉각 이행에 나선다.

이번 정책공모는 지난해 5월 박형준 부산시장 취임 이후 제1호 공약으로 추진하고 있는 ‘15분 도시 부산’ 조성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시민 삶의 질 개선과 기후 위기·디지털 대전환 대응 등을 위한 15분 생활권 디지털 스마트 그린 인프라 등 3대 분야 자치구·군 사업에 부지매입비를 제외한 총사업비의 75%를 시가 지원한다.

총사업비는 947억원 규모다.

시는 정책공모 추진을 위해 올해 66억원의 예산을 확보하고 작년 연말부터 올해 4월 22일까지 자치구·군을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해 16개 구·군으로부터 총 53개의 사업을 접수했다.

이후 17개 시 관계부서의 1차 심사와 공감정책단 평가, 23명의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의 분과위원회 예비심사를 거쳤고 6월 13일에 열린 선정위원회 본회의에서 최종적으로 선정사업을 확정했다.

최종 선정된 사업은 11개 구·군의 총 16개 사업이다.

이 중 사업당 최대 120억원의 시비를 지원하는 복합생활권 유형에는 사하구의 ‘솔티 브릿지 파크 조성’ 사업 등 5건이, 최대 30억원의 시비를 지원하는 근린생활권 유형에는 남구의 ‘문현4동 열린 복합청사 건립’ 사업 등 11건이 선정됐다.

자치구·군별로는 남구가 3건으로 가장 많았고 사상·사하·해운대구가 각 2건 중·서·영도·동래·금정·연제·수영구가 각 1건씩 선정됐다.

선정사업을 분야별로 보면 청소년·아동 및 노인 등 복지 분야 3건 자원순환·맑은 물 등 환경 분야 2건 도심공원 및 녹지공간 조성 등 녹지 분야 3건 공공시설의 공간 효율성 및 주민 편의성·접근성 향상 등을 위한 공공청사 복합화 2건 마지막으로 경사형 엘리베이터 및 보행친화로드 등 보행약자를 위한 보행환경 분야 6건 등이다.

시는 개선 또는 확충이 시급해 평소에도 주민들의 요구가 많고 주민들이 효과를 쉽게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이 주로 선정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선정에 따라, 시는 오는 6~7월 중 지방재정투사업 심사 등 사업 추진에 필요한 후속절차를 이행하고 7월 말 대상 자치구·군에 보조금을 교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또한, 실제 사업 이행은 해당 자치구·군에서 맡을 예정이지만 정책공모 취지 달성과 사업 실효성 확보 등을 위해 선정위원회를 자문단으로 전환해 자치구·군의 사업 추진 과정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시에서 곧 마련할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 향후 운영에 필요한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운영방향 등을 설계 단계부터 점검해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임경모 부산시 도시계획국장은 “이번 공모는 ‘15분 도시 부산’ 조성을 위해 시에서 주관하는 첫 대규모 공모사업이다”며 “이번 기회를 통해 시민분들의 생활상의 불편함을 일부나마 해소하고 15분 도시 부산 조성에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이어 “향후에는 시와 자치구·군이 협업해 파급효과가 큰 생활권을 시범구역으로 지정하는 등 15분 도시 부산 비전에 부합하는 사업들을 확산시켜나갈 예정이다”며 “시민분들의 많은 관심과 지지를 부탁드린다”고도 밝혔다.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임수진 / 문화예술팀 기자
이메일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