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4일 타개한 박서보 화백 |
한국 단색화의 거장 박서보 화백이 14일 별세했다. 향년 92세.
그는 지난 2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폐암 2기 판정 소식을 전했다. 당시 고인은 ‘작업에 전념하며 더 의미 있게 시간을 보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후 작가는 최근까지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해 왔으며 지난 9월 열린 프리즈 서울에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다.
1931년에 태어난 고인은 한국 추상미술과 단색화 분야의 대표 작가다. 1950년대 국내 추상 미술 운동을 이끌었고, 1960년대부터는 끊임없이 한 가지 색으로 선을 긋는 ‘묘법(Ecriture)’ 시리즈를 제작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그는 생전 “다섯 살 둘째 아들이 형의 국어 공책을 펼쳐 두고 글씨 연습을 하는 모습을 보고 묘법을 만들었다”며 “종이가 구겨지가 제 맘대로 쓸 수 없으니 짜증 내면서 죽죽 그러버리는 체념의 몸짓을 흉내 내 보고 싶었다”고 작품을 설명한 바 있다.
고인은 물감을 쌓고 뜯어내고 점을 찍는 등 작가의 신체를 이용해 작업을 반복하며 정신을 수양하고 탐구하는 방식으로 작품을 제작했다. 특히 1967년 시작한 묘법 시리즈는 연필로 작업하는 전기(1967~1989)를 지나 한지를 풀어 물감에 갠 것을 화폭에 올린 후 도구를 이용해 긋거나 밀어내 작업하는 후기, 자연의 색을 작품에 끌어들인 유채색 작업을 변화해 왔다.
박 화백은 지난 2015년 이탈리아 베네치아 비엔날레 병행 전시로 열린 ‘단색화’전 이후 주목 받았고, 2018년 홍콩 크리스티 경매에서 연필로 선을 그은 연필 묘법 작품(1976년 작품)이 200만 달러(약 25억 원)에 판매되며 화제를 모았다. 미국 뉴욕현대미술관과 구겐하임미술관, 시카고 아트인스티튜트, 일본 도쿄도 현대미술관, 프랑스 파리 퐁피두센터, 홍콩 M+미술관 등 세계 유명 미술관이 그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고인의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조문은 이날 오후부터 받고 있다.
※ 박서보[朴栖甫 본명:박재홍, 朴在弘) 1931.11.15~2023.10.14]
[수련 과정]
· 1950 홍익대학 문학부 회화과 입학
· 1954 홍익대학 미술학부 회화과 졸업
3. 일반/수상경력
1) 일반
·1962-9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교수(97년 정년퇴임, 이후 명예교수).
·1970-77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 부이사장.
·1977-80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부회장.
·1985-86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장.
·1986-90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장.
·1994 재단법인 서보미술문화재단 설립.
·2000 명예미술학 박사, 홍익대학교, 서울.
·現 재단법인 栖甫美術文化財團 이사장,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명예교수
2) 수상
·1994 옥관문화훈장(4등급) 수훈, 재단법인 서보미술문화재단 설립
·2011 은관문화훈장(2등급) 수훈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1931년 경상북도 예천(醴泉)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를 졸업하였다. 1962년 대학 강단에 선 이후 1997년까지홍익대학교 교수·조형미술연구소장·산업미술대학원장·미술대학장 등을역임하였다.
교육 활동 외에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부회장(1977∼1979)과 한국미술협회이사장(1977∼1980)·고문(1980)을 지냈고, 1994년 서보미술문화재단을 설립한 이후 2002년 현재까지 이사장을 맡고 있다.
1958년 현대미술협회에 가담하면서 제2차세계대전 후 프랑스를 중심으로 일어난새로운 회화운동인 앵포르멜 운동에 앞장선 뒤, 1961년 세계청년화가 파리대회에참가한 후부터 추상 표현주의 미학을 바탕으로 서양문화에 저항하는 원형질(原形質) 시리즈를 전개하였다. 1960년대 중반부터는 현대인의 번잡스러운 형상을 고발한허상(虛像) 시리즈를 발표하였고, 1970년대 이후부터는 묘법(描法) 회화를추구하였는데, 일명 '손의 여행'으로 일컬어지는 묘법은 그의 회화의 정점을이루었다는 평을 듣고 있다.
묘법 회화의 초기에는 연필이나 철필로 선과 획을 반복적으로 긋는 행위를 통해무위자연의 이념을 표현하였고, 1980년대 이후 본격화된 후기 묘법에서는 종이 대신 한지를 이용해 대형화된 화면 속에 선긋기를 반복함으로써 바탕과 그리기가 하나로통합된 세계를 보여준다. 특히 이 묘법 회화는 화가의 행위성이 끝나면서 작품도종결된다는 서구의 방법론을 넘어 그 위에 시간이 개입됨으로써 변화의 과정을 거친뒤에야 완성에 이른다는 동양 회화의 세계를 잘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파리비엔날레(1963)와 칸국제회화전(1969), 베니스비엔날레(1988) 등 각종 국제전에출품하였고, 대통령 표창, 중앙문화대상, 대한민국문화예술상, 국민훈장 석류장, 서울특별시문화상, 옥관문화훈장 등을 받았다.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