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심을 버리려면 나를 버리고, 내 재산, 내 재능, 내 몸, 내 마음을 필요한 곳에 나누어 그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이다. 나눔만이 생사윤회(生死輪廻)하는 우리 중생들의 즐거움을 얻는 방법이다.
-불교를 크게 요약하면, 깨달음과 사랑, 다르게 말하면, 깨달어 지혜를 얻고(사실 가치), 자비를 베푸는(판단 가치) 것이다.
-역대 일곱 부처님들이 깨닫고 실천한 가르침의 핵심이 "모든 악을 짓지 말고,
오늘은 부처님 오신 날이다. 나는 어린 시절에 들은 '사월 초파일'로 기억한다. 석가모니(=싯다르타, 고마타 붓다)의 석가는 부처님 당시 인도의 특정 부족 이름이지 부처님을 지칭하는 말이 아니라고, 석가탄신일보다는 '부처님 오신 날'로 바꾸자고 불교계는 주장하며, 이런 메시지를 전한다. "탐진치(貪瞋痴)의 무명(無明) 밝혀 진여(眞如) 깨치게 하소서." 석가모니가 이 세상에 와서 중생들에게 광명(빛)을 준 날이다. 나도 오늘 아침 <인문 일지>를 통해 그 빛을 밝혀본다.
부처님 탄생 게(誕生偈)는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天上天下 唯我獨尊 三界皆苦 我當安之)였다. 이 말은 "하늘 위 하늘 아래 나 홀로 존귀하다. 삼계가 모두 고통이니 내가 마땅히 편안케 하리라" 뜻이다. '자신의 존귀함을 알라'는 말이 다시 와닿는다. 우리는 매 순간 괴로움에서 벗어나 즐거움을 얻으려고 한다. 그러나 좋아하고 싫어함이 즐거움과 괴로움의 원인이다. 부처님께서는 괴로움과 즐거움의 근본 원인은 우리들 밖에 있는 대상이나 조건이 아니라 자신이 좋아하고 싫어하는 마음에 있으니 직접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고 좋아하는 마음을 늘려가라고 하셨다. 그 길은 욕심을 버리는 것이다. 좋아하고 싫어함은 욕망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욕심을 버리려면 나를 버리고, 내 재산, 내 재능, 내 몸, 내 마음을 필요한 곳에 나누어 그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이다. 나눔만이 생사윤회(生死輪廻)하는 우리 중생들의 즐거움을 얻는 방법이다.
부처님 오신 날에, 우리는, 연등을 밝히며 내 안의 등불과 진리의 등불을 밝히고, 붓다 가르침의 핵심인 지혜와 자비, 다르게 말하면, 깨달음과 사랑의 실천을 다짐한다. 무엇을 깨달어야 하는가?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諸法無我)"이니, 집착이 일으키는 고통("일체개고, 一切皆苦")을 벗어나면, 열반적정(涅槃寂靜)에 이른다는 진리, 사성제(四聖諦)를 깨닫는 것이다. 그리고 그 힘으로 자비, 즉 사랑을 베푸는 것이다. 그러니까 불교를 크게 요약하면, 깨달음과 사랑, 다르게 말하면, 깨달아 지혜를 얻고(사실 가치), 자비를 베푸는(판단 가치) 것이다.
'깨닫는다'는 지혜는 나 자신의 본성(本性)을 깨닫는 거다. 우리는 생로병사, 몸이 병들거나 늙거나 죽음에 이르게 되면 모두가 무용지물이다. 결국 생로병사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는 것이 해탈, 열반 적정이다. 우리는 태어나면 반드시 늙고 병들고 죽는다. 그러니 아프면 병원에 가서 치료해 건강을 회복하고, 나이 먹어 불편해지면 감수하며 적응해 살아간다. 그러다가 죽음에 이르면 전혀 마음이 원하는 일을 할 수 없으니 새로운 몸을 구하고자 한다. 이것이 윤회, 환생이다. 그러나 새로운 것을 구할 필요 없어야 열반에 이르고, 다시 원하지 않으니 '생사해탈'이 되는 것이다.
우리 자신을 잘 보면, 좋아하는 느낌과 싫어하는 느낌은 다르지만 그 느낌을 아는 주인인 나는 동일하다. 그러니 마음의 주인인 나의 입장에서 보면, 굳이 싫어함과 좋아함을 구별해서 구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게 깨달음이고, 우리가 말하는 부처님의 지혜이다. 사실판단이다. 이런 식으로, 언제 어디서나 어떤 조건이든지 변하지 않는 나의 본성을 깨닫는 것이다. 그러니까 부처님께서 이 땅에 오신 의미는 모든 중생을 고통에서 벗어나 즐거움을 얻게 하는 것이고, 그 방법은 공덕(功德, 사랑과 나눔)과 지혜(깨달음)를 통해 본래 누구나 가장 완전하고 영원한 즐거움인 해탈 열반을 갖추고 있음을 깨닫게 하려는 것이라고 본다.
그리고 부처의 마지막 가르침은 "자등명 법등명(自燈明 法燈明)"이다. 그래 절 근처에는 모두 등을 단다. '너희들은 저마다 자기 자신을 등불로 삼고 자기를 의지하라. 또한 진리를 등불로 삼고 진리를 의지하라. 이밖에 다른 것에 의지해서는 안 된다'란 뜻이다. 원래는 등(燈)이 아니라 섬(島)이었다고 한다. '자신을 섬으로 삼고 자기를 의지하라'였는데, 한역하면서 섬이 등불로 바뀐 것이라 한다. 이 점이 불교가 다음과 같이 주장하는 다른 종교와의 차이이다. '나는 세상을 구제하는 자이므로 나를 등불로 삼고 의지하라. 그렇지 않다면 지옥에 가게 될 것이다.'
불교는 우리 안에 있는 '불성(佛性)을 깨우치라' 말한다. 여기서 불성을 다른 말로 하면, 우리의 마음이다. 또는 성품, 심성, 자성, 정신세계라 할 수 있다. "법등명"보다 "자등명"을 먼저 말씀하신 것은 내가 아닌 바깥 세상에 휘둘리지 말고 자신에 의지하는 게 부처님 말씀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는 듯하다. 인간 존재의 무한한 능력을 그 분은 간파하신 것이다.
예수도 이런 말씀을 하셨다. 진리가 무엇이냐? 묻지 말고, "진리에 속한 자는 내 소리를 듣는지라"고 하셨다. 비슷한 말이 아닌가? 반면 붓다는 어떤 말이 진리인가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전승되어 온 것이라고 해서, 어느 권위자가 말했다고 해서, 세간에 널리 인식되어 있다고 해서 진리로 승인하지 마십시오. 깊이 사유하고 그것이 이치에 맞는 것인가를 생각하십시오. 그리고 실천하여 자유롭고 평온한 삶을 성취하면 그것을 진리로 받아들이십시오, 나의 말도 무조건 믿지 마십시오," 진리가 너희를 편안하게 할 것이라는 말도 이치에 맞게 살면, 편안하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
붓다는 영적 삶의 원형이고, 담마(진리)와 립바다(열반)의 화신이다. 오늘 그분이 태어나신 날이다. 불가(佛家)에서는 연등행사를 한다. 연등을 닮은 꽃인 연꽃은 진흙 속에서 피어나기 때문에, 혼탁하고 어지러운 세상(진흙) 속에서 물들지 않는 깨달음의 연꽃을 피우라는 것이다. 연등을 밝히고, 내 안의 등불과 진리의 등불을 밝히고, 붓다 가르침의 핵심인 지혜와 자비, 깨달음과 사랑의 실천을 다짐하자는 거다.
"차라리 혼자서 가라/어리석은 자와의 동행을 꿈꾸지 말라. 죄업을 벗고 집착을 떠나 숲 속의 코끼리처럼 혼자서 가라."(<<법구경>>) 오늘 아침은 시 대신 <<숫타니파타>> 구절 일부를 공유한다.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진흙에 더럽히지 않는 연꽃처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욕망과 집착, 번민과 애착
그 모든 것을 집어 던지고
해탈의 진리를 찾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탐욕과 혐오와 헤매 임을 버리고
매듭을 끊어
목숨을 잃어도 두려워 말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나는 '홀로 행하고 게으르지 말며, 비난과 칭찬에 흔들리지 말라.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진흙에 더럽히지 않는 연꽃처럼, 남에게 이끌려 가지 않고, 남을 이끄는 사람이 되라'고 읽는다. 그러면서 불교를 공부하며 적어 두었던 사유들을 좀 공유한다.
불교에서 말하는 칠불통계(七佛通戒)를 다시 소환한다. “악한 짓 하지 말고 선한 일을 두루 행해서 그 마음을 맑히라. 이것은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언제 어디서 어떻게 살든 한순간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매순간 마음을 맑히는 일로 이어져야 한다.
세상이 혼란스러운 것은 사람들이 못 배워서가 아니라 잘못 배워서란다. 사람이 차마 해서는 안 될 일을 버젓이 행하는 것도 많이 배우지 못해서가 아니라 잘못 배워서란다. 역대 일곱 부처님들이 깨닫고 실천한 가르침의 핵심이 "모든 악을 짓지 말고, 모든 선을 받들어 행하며, 마음을 청정하게 가꾸라"이다. 이를 우리는 '칠불통계(七佛通戒)'라고 한다. 우리는 여기서 '선을 말하기 전에 악을 짓지 말라'는 말을 먼저 한 것에 주목해야 한다. 우리 사회는 선행을 많이 하지 못해서 아름답고 행복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우리 삶이 힘들고 혼란스러운 것은 개인과 집단이 서로에게 해서는 안 될 일을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오늘은 동시에 스승의 날이기도 하다. "♬~스승의 은혜는/하늘같아서~♬"와 함께 나를 지금까지 키워 주신 모든 스승님께 바칩니다.
나는 스승의 날마다, 소환하는 문장이 있다. "학위인사(學爲人師) 행위세범(行爲世範)"이다. '학문은 다른 사람의 스승이 되어야 하고, 행실은 세상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공자가 사랑했던 제자 안회의 삶을 묘사했던 말로 알려져 있다. 북경사범대학의 교훈이기도 하다. 내가 나온 사범대학의 '사범(師範)'의 어원이다. 좀 더 현대식으로 해석하면, '배워서 남의 선생이 되고, 배운 바를 실천하여 세상의 모범이 되는 사람'이라는 말이다. 나도 실천하고 싶다. 교육자는 학문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행실에 있어 모범을 보여 주어야 한다는 말이라 생각한다. 인성(人間性)을 갖추지 못한 교사가 나가면 지식 전달자이지 선생이 아니다. 말로 사람을 변화시킬 수 있는 직업은 선생님밖에 없다. 말로 사람을 변화시키려면 학생에게 신뢰를 얻어야 되고, 언행이 진실이 되고 모범이 되어야 한다.
인문운동가 박한표님이 7 hours ago에 게시
다른 글들은 네이버에서 '우리마을대학협동조합'를 치시면, 그 곳의 출판부에서 볼 수 있다. 아니면, 나의 블로그 https://pakhanpyo.tistory.com 이나 https://blog.naver.com/pakhan-pyo 에 있다.
![]() |
▲ 박한표 교수 |
<필자 소개>
박한표 교수 (대전문화연대 공동대표, 경희대 겸임교수 )
공주사대부고와 공주사대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석사취득 후 프랑스 국립 파리 10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전 알리앙스 프랑세즈 프랑스 문화원 원장, 대전 와인아카데미 원장 등으로 활동 중이다.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