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관리센터와의 연계 부족으로 지원 효율성 저하
광역심리지원센터,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 개발 시급
치매센터, 자치구 협력사업과 관리 체계 강화 필요
![]() |
| ▲강석주 시의원 |
서울특별시의회 강석주 의원(국민의힘·강서2)은 14일 보건복지위원회 시민건강국 관련기관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 정신건강복지센터, 광역심리지원센터, 광역치매센터 간의 연계 시스템 부재와 비효율적 운영을 강하게 지적했다. 강 의원은 각 센터가 독립적으로 운영되면서 중복된 업무를 수행하고 있어 협력과 효율적인 관리체계가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강 의원은 정신건강복지센터가 마약 및 알콜 중독 상담과 치료를 담당하지만, 최근 개소한 마약관리센터와의 연계가 부족해 효율적인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센터의 인력에 비해 자체 대상자 발굴 실적이 저조하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하며, 20여 년이 지난 센터에서 이러한 답변은 부적절하다고 질타했다.
광역심리지원센터는 개소 1년 차를 맞았지만, 주로 프로그램 개발에만 집중하고 있어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센터는 소방, 경찰 등 트라우마 대응인력 대상 PoED 기반 트라우마 교육을 개발했으며, 2026년부터 보급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강 의원은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현장 적용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광역치매센터에 대해서는 자치구 간 협력사업 활성화와 컨트롤타워 역할 강화를 주문했다. 강 의원은 치매안심매니저 양성 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부족하다고 지적하며, 중복된 역할을 정리하고 효율적인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의원은 각 센터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것만으로는 시민들에게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고 강조하며, 기관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중복된 업무를 정리하여 체계적인 관리와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행정사무감사에서는 서울시 산하 병원들의 지속적인 적자 문제 해결을 위한 병원의 수익구조 점검과 자구책 마련도 요구됐다.
이날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된 문제들은 서울시의 정신건강 및 치매 관리 체계의 개선 필요성을 시사한다. 각 센터 간의 협력과 효율적인 운영 체계 구축은 시민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제이다. 이를 통해 서울시는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정신건강 및 치매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